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은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각 대륙별로 진행되었다. 유럽,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팀이 결정되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프랑스는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아시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유럽에서는 러시아, 포르투갈,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크로아티아,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슬로베니아, 터키, 벨기에, 독일, 남미에서는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북중미에서는 코스타리카, 멕시코, 미국, 아프리카에서는 카메룬, 나이지리아, 세네갈, 튀니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아일랜드가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FIFA 월드컵 -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의 결승 경기로 요코하마에서 브라질과 독일이 맞붙어 브라질이 2-0으로 승리하며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한 경기이다. - 2002년 FIFA 월드컵 -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고 4만 2,391명을 수용 가능하며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는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합죽선, 솟대, 가야금을 모티브로 한 한국 전통 건축 양식 디자인이 특징이다.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 2위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진출팀을 가려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1차 예선과 최종 예선을 거쳐 카메룬, 나이지리아, 세네갈, 튀니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하도록 진행되었다. - FIFA 월드컵 예선 - 2016년 OFC 네이션스컵
2016년 OFC 네이션스컵은 파푸아뉴기니에서 개최되어 8개 팀이 참가했으며, 뉴질랜드가 우승을 차지하고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겸했다. - FIFA 월드컵 예선 - 2012년 OFC 네이션스컵
2012년 OFC 네이션스컵은 솔로몬 제도에서 개최된 오세아니아 축구 선수권 대회이며,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겸하여 타히티가 우승을 차지하고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진출했다.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기간 | 2000년 3월 4일 – 2001년 11월 25일 |
참가 팀 수 | 199 |
대륙 연맹 | 6 |
총 경기 수 | 777 |
총 득점 | 2452 |
최고 득점자 | 아치 톰프슨 (16골) |
이전 시즌 | 1998 |
다음 시즌 | 2006 |
2.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는 총 193개 팀이 참가하여 777경기를 치렀으며, 총 2452골(경기당 평균 3.17골)이 기록되었다. 대륙별 본선 진출권 배분은 다음과 같았다.
- 유럽 (UEFA): 14.5장 (개최국 프랑스 자동 진출, 13.5장 경쟁)
- 남아메리카 (CONMEBOL): 4.5장
- 북중미카리브 (CONCACAF): 3장
- 아프리카 (CAF): 5장
- 아시아 (AFC): 4.5장 (개최국 대한민국, 일본 자동 진출, 2.5장 경쟁)
- 오세아니아 (OFC): 0.5장
각 대륙별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유럽 (UEFA): 러시아, 포르투갈,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크로아티아,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가 각 조 1위로 본선에 직행했다. 플레이오프를 통해 벨기에, 슬로베니아, 독일, 터키가 추가로 본선에 진출했다. 아일랜드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오세아니아 (OFC): 오스트레일리아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아메리칸사모아를 31-0으로 꺾고 월드컵 예선 역사상 최다 득점차 승리 기록을 세웠다.
2. 1. 유럽 (UEFA)
유럽축구연맹(UEFA) 회원국들은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예선을 치렀다. 개최국 프랑스는 자동 진출하였고, 나머지 50개 팀이 13.5장의 본선 티켓을 놓고 경쟁했다.50개 팀은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직행했고, 조 2위 팀 중 아일랜드는 추첨을 통해 AFC-UEFA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나머지 8개 조 2위 팀은 UEFA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홈 앤 어웨이 토너먼트 경기를 통해 본선 진출 팀을 가렸다.
네덜란드와 루마니아는 각각 2조 3위와 플레이오프 탈락으로 1986년 이후 처음으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범례 |
---|
2002년 월드컵 본선 진출 국가 |
플레이오프 진출 국가 |
{| class="wikitable"
|+ 조별 예선 결과
|-
! 1조 !! 2조 !! 3조
|-valign=top
|
|
|
|-
! 4조 !! 5조 !! 6조
|-valign=top
|
|
|
|-
! 7조 !! 8조 !! 9조
|-valign=top
|
팀 | 경기 | 승점 |
---|---|---|
스페인 | 8 | 20 |
오스트리아 | 8 | 15 |
이스라엘 | 8 | 12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8 | 8 |
리히텐슈타인 | 8 | 0 |
|
|
|}
각 조 1위 팀: 러시아, 포르투갈,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크로아티아,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는 본선에 직행했다.
플레이오프를 통해 벨기에, 슬로베니아, 독일, 터키가 추가로 본선에 진출했다.
2. 2. 남아메리카 (CONMEBOL)
남미 (CONMEBOL)에서는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총 10개 팀이 경쟁했으며, 4.5장의 출전권이 주어졌다. 10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상위 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고, 5위 팀은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위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범례 |
---|
2002년 월드컵 본선 진출 국가 |
최종 결과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브라질, 파라과이가 본선에 진출했고, 우루과이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 3. 북중미카리브 (CONCACAF)
200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결과 '''코스타리카''', '''멕시코''', '''미국'''이 본선에 진출했다.총 35개의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국가 대표팀이 예선에 참가했다. FIFA 랭킹 상위 4개 팀인 멕시코, 미국, 자메이카, 코스타리카는 시드를 받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캐나다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나머지 팀들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지역으로 나뉘었다.
- 카리브해 지역: 24개 팀은 각각 8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었다. 각 조의 팀들은 3라운드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우승팀은 준결승에 진출하고, 준우승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중앙아메리카 지역: 6개 팀은 각각 3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었다. 각 조의 팀들은 서로 상대팀과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우승팀은 준결승에 진출하고, 준우승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플레이오프: 6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 경기를 치렀다. 북중미 팀과 카리브해 팀이 맞붙었고, 승리팀은 준결승에 진출했다.
- 준결승: 12개 팀은 각각 4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었다.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 최종 라운드: 6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렀다. 상위 3개 팀은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범례 |
---|
2002년 월드컵 본선 진출 국가 |
2. 4. 아프리카 (CAF)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는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권 5장이 배정되었다. 51개 팀이 예선에 참가했다.부룬디는 조추첨 전에 기권했고, 니제르와 코모로는 참가하지 않기로 했다.
기니는 정부가 축구협회에 개입한 것 때문에 최종 라운드에서 제외되었고, 최종 라운드에서 얻은 결과는 무효화되었다.
아프리카의 자동 본선 진출권 5장은 카메룬, 세네갈, 튀니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이지리아가 차지했다.
예선은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 '''1라운드''': 50개 팀은 각각 10개 팀씩 5개 조로 나뉘었다. 각 조의 10개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 경기를 치렀고, 승자는 2라운드로 진출했다.
- '''2라운드''': 25개 팀은 각각 5개 팀씩 5개 조로 나뉘었다. 팀들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렀고,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A조 - '''카메룬''' 본선 진출.
- B조 - '''나이지리아''' 본선 진출.
- C조 - '''세네갈''' 본선 진출.
- D조 - '''튀니지''' 본선 진출.
- E조 - '''남아프리카 공화국''' 본선 진출.
2. 5. 아시아 (AFC)
대한민국과 일본은 공동 개최국으로서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였고, 나머지 40개 팀이 2.5장의 본선 진출권을 놓고 경쟁하였다. 미얀마는 2조에 속해 있었으나 경기 시작 전에 기권하여, 해당 조는 3개 팀으로 축소되었다.아프가니스탄, 부탄, 북한은 참가하지 않았다.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이 각각 A조와 B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이란은 각 조 2위 간 플레이오프에서 아랍에미리트를 꺾고 UEFA-AFC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아일랜드에 패하여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아시아 지역 예선은 총 3라운드로 진행되었다.
- '''1차 예선''': 39개 팀을 10개 조(9개 조는 4개 팀, 1개 조는 3개 팀)로 나누어 경기를 치렀다. 2조를 제외한 각 조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2조는 단판으로 경기를 진행했다. 각 조 1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최종 예선''': 1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을 2개 조(각 조 5개 팀)로 나누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고, 2위 팀은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플레이오프''': 최종 예선 각 조 2위 팀 간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리 팀이 UEFA-AFC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 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조 | B조 |
---|---|
2. 6. 오세아니아 (OFC)
오세아니아 (OFC)에서는 총 10개 팀이 본선 진출 티켓 0.5장을 놓고 경쟁을 펼쳤다. 파푸아뉴기니는 참가하지 않았다.경기는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 '''1차 예선''': 10개 팀은 5개 팀씩 두 조로 나뉘어 각 팀은 다른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승자는 2차 예선에 진출했다.
- '''2차 예선''': 두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승자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OFC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차 예선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아메리칸사모아를 31-0으로 꺾고 월드컵 예선 역사상 최다 득점차 승리 기록을 세웠다.
2차 예선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합계 6-1로 뉴질랜드를 꺾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의 마지막 두 자리를 결정하기 위해 대륙간 플레이오프가 두 차례 열렸다. 1차전은 2001년 11월 10일과 20일에, 2차전은 2001년 11월 15일과 25일에 각각 진행되었다.[2]
3. 대륙간 플레이오프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승점이 많은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승점이 같을 경우 총 득점으로, 총 득점도 같은 경우에는 원정 다득점으로 본선 진출팀을 결정했다.3. 1. UEFA-AFC 플레이오프
유럽과 아시아의 대륙간 플레이오프 경기이다.
아일랜드가 합계 2 : 1로 본선에 진출했다. 2001년 11월 10일, 더블린에서 열린 1차전에서 아일랜드가 이란에 2-0으로 승리했다.[1] 2001년 11월 15일 테헤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이란이 아일랜드를 1-0으로 이겼으나,[2] 합계에서 앞선 아일랜드가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3. 2. OFC-CONMEBOL 플레이오프
오세아니아 - 남미 플레이오프에서는 '''우루과이'''가 합계 3 : 1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하며, 승점이 많은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승점이 동일한 경우 총 득점으로, 총 득점도 동일한 경우 원정 다득점으로 결정한다.
최종 결과, 우루과이가 월드컵 본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4. 본선 진출국
2002년 FIFA 월드컵에는 총 32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프랑스는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팀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나머지 29개 팀은 각 대륙별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합류했다.
팀 | 참가 자격 | 본선 진출 확정일 | 통산 출전 횟수 | 마지막 진출 | 연속 진출 횟수 | 역대 최고 성적 |
---|---|---|---|---|---|---|
대한민국 | 공동 개최국 | 1996년 5월 31일 | 6 | 1998 | 5 | 조별 리그 (1954, 1986, 1990, 1994, 1998) |
일본 | 공동 개최국 | 1996년 5월 31일 | 2 | 1998 | 2 | 조별 리그 (1998) |
프랑스 |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 | 1998년 7월 12일 | 11 | 1998 | 2 | 우승 (1998) |
카메룬 | 아프리카 최종 예선 A조 1위 | 2001년 7월 1일 | 5 | 1998 | 4 | 8강 (199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아프리카 최종 예선 E조 1위 | 2001년 7월 1일 | 2 | 1998 | 2 | 조별 리그 (1998) |
튀니지 | 아프리카 최종 예선 D조 1위 | 2001년 7월 15일 | 3 | 1998 | 2 | 조별 리그 (1978, 1998) |
세네갈 | 아프리카 최종 예선 C조 1위 | 2001년 7월 21일 | 1 | 첫 출전 | 1 | 첫 출전 |
나이지리아 | 아프리카 최종 예선 B조 1위 | 2001년 7월 29일 | 3 | 1998 | 3 | 16강 (1994, 1998) |
아르헨티나 | 남미 지역 예선 1위 | 2001년 8월 15일 | 13 | 1998 | 8 | 우승 (1978, 1986) |
폴란드 | 유럽 예선 5조 1위 | 2001년 9월 1일 | 6 | 1986 | 1 | 3위 (1974, 1982) |
스웨덴 | 유럽 예선 4조 1위 | 2001년 9월 5일 | 10 | 1994 | 1 | 준우승 (1958) |
스페인 | 유럽 예선 7조 1위 | 2001년 9월 5일 | 11 | 1998 | 7 | 4위 (1950) |
코스타리카 | 북중미 최종 예선 1위 | 2001년 9월 5일 | 2 | 1990 | 1 | 16강 (1990) |
러시아(1) | 유럽 예선 1조 1위 | 2001년 10월 6일 | 9 | 1994 | 1 | 4위 (1966) |
포르투갈 | 유럽 예선 2조 1위 | 2001년 10월 6일 | 3 | 1986 | 1 | 3위 (1966) |
덴마크 | 유럽 예선 3조 1위 | 2001년 10월 6일 | 3 | 1998 | 2 | 8강 (1998) |
크로아티아 | 유럽 예선 6조 1위 | 2001년 10월 6일 | 2 | 1998 | 2 | 3위 (1998) |
이탈리아 | 유럽 예선 8조 1위 | 2001년 10월 6일 | 15 | 1998 | 11 | 우승 (1934, 1938, 1982) |
잉글랜드 | 유럽 예선 9조 1위 | 2001년 10월 6일 | 11 | 1998 | 2 | 우승 (1966) |
중국 | 아시아 최종 예선 B조 1위 | 2001년 10월 7일 | 1 | 첫 출전 | 1 | 첫 출전 |
미국 | 북중미 최종 예선 2위 | 2001년 10월 7일 | 7 | 1998 | 4 | 3위 (1930) |
사우디아라비아 | 아시아 최종 예선 A조 1위 | 2001년 10월 21일 | 3 | 1998 | 3 | 16강 (1994) |
파라과이 | 남미 지역 예선 4위 | 2001년 11월 8일 | 6 | 1998 | 2 | 16강 (1986, 1998) |
멕시코 | 북중미 최종 예선 3위 | 2001년 11월 11일 | 12 | 1998 | 3 | 8강 (1970, 1986) |
벨기에 |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 2001년 11월 14일 | 11 | 1998 | 6 | 4위 (1986) |
독일(2) |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 2001년 11월 14일 | 15 | 1998 | 12 | 우승 (1954, 1974, 1990) |
슬로베니아 |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 2001년 11월 14일 | 1 | 첫 출전 | 1 | 첫 출전 |
터키 |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 2001년 11월 14일 | 2 | 1954 | 1 | 조별 리그 (1954) |
에콰도르 | 남미 지역 예선 2위 | 2001년 11월 14일 | 1 | 첫 출전 | 1 | 첫 출전 |
브라질 | 남미 지역 예선 3위 | 2001년 11월 14일 | 17 | 1998 | 17 | 우승 (1958, 1962, 1970, 1994) |
아일랜드 | 유럽-아시아 플레이오프 승자 | 2001년 11월 15일 | 3 | 1994 | 1 | 8강 (1990) |
우루과이 | 남미-오세아니아 플레이오프 승자 | 2001년 11월 25일 | 10 | 1990 | 1 | 우승 (1930, 1950) |
4. 1.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관련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2년 FIFA 월드컵에 6번째로 출전했으며, 1986년 대회부터 5회 연속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6]
4. 2. 주목할 만한 사건
- 브라질은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사상 최악의 예선을 치렀다. 6번의 패배(예선에서 2번 이상 패한 유일한 경우)를 기록하며 남미 예선 3위로 본선에 진출했는데(예선에서 1위를 차지하지 못한 유일한 경우) 브라질은 이후 2002년 월드컵에서 7경기 전승이라는 기록적인 성과를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연장전이나 승부차기 없이 모든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 조별 예선에서 2위를 차지한 독일은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 1-5로 패배한 것으로 유명하다. 독일은 사상 처음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러야 했다.
- 오스트레일리아는 신생팀인 아메리칸사모아를 상대로 31골을 넣어 국제 경기 역사상 최다 득점 경기 및 최대 점수차 승리 기록을 세웠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통가를 22-0으로 대파한 지 이틀 만의 일이었으며, 당시 국제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이었다. 또한, 아치 톰슨은 아메리칸사모아와의 경기에서 13골을 넣어 종전 기록 10골을 넘어섰다.
- 토고의 술레이마네 마맘은 2001년 5월 잠비아와의 경기에서 13세 310일의 나이로 월드컵 예선 경기에 출전한 최연소 선수가 되었다.
- A매치 최단 시간 해트트릭 기록은 이집트의 압둘 하미드 바시우니가 나미비아와의 경기에서 177초 만에 3골을 넣으면서 세워졌다.
- 스위스의 쿠빌라이 튀르키위마즈는 페로 제도와의 경기에서 페널티킥으로만 해트트릭을 달성했다. 브라질의 호나우두는 2006년 월드컵 예선에서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며 이 기록을 따라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FIFA/Coca Cola World Ranking (15 May 2002)
https://www.fifa.com[...]
FIFA
2013-09-12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match Calendar 2013–2018
https://www.fifa.com[...]
FIFA
2013-11-23
[3]
문서
프랑스는 전회 우승국이므로 예선 면제되었다.
[4]
문서
1934년~1990년의 서독 시대를 포함한다.
[5]
문서
일본은 개최국이므로 예선 면제되었다.
[6]
문서
한국은 개최국이므로 예선 면제되었다.
[7]
문서
1958년~1990년의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포함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